20:80법칙
20:80법칙은, 정확하게는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이라고 하는데, 낯선 용어일 것입니다. 상위 20%가 전체 생산의 80%를 해낸다는 경제용어입니다. 80:20 법칙 혹은 80/20 룰(rule)이라고도 합니다.
나무위키의 내용을 그대로 옮기자면 이렇습니다.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인 조셉 주란이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가 1896년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 이름을 따와 파레토의 법칙이라 이름 붙였다. 파레토는 자신의 정원에서 키우던 콩의 콩깍지 중에서 잘 여문 소수의 콩깍지가 전체 콩알 산출의 대부분을 담당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모티브를 따온 파레토는 이를 거시경제학에 접목시켜서 이탈리아 20% 인구가 80% 땅을 소유하는 현상에 대해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후 조셉 주란이 1941년에 파레토의 연구 결과를 접하고 이를 품질관리에 적용하여, 80%의 불량은 20%의 원인에서 나온다는 주장을 하면서 대중적으로 유명해졌다.
개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관찰된다. 개미 사회에선 20%의 개미가 80%의 일을 하고 나머지 80%는 20%의 일을 할 뿐이다. 참고로, 개미들은 일종의 교대 근무를 하므로 20%만 죽어라 일하고 나머지는 놀고먹는 것이 아니다. 20%의 개미들이 열심히 일을 할 동안 나머지 80%는 휴식을 취하고, 열심히 일했던 개미들이 휴식을 취할 때, 휴식을 취하던 다른 개미들이 나가서 일을 하는 것이다』
파레토 법칙은 일반 사회에서만 적용되는 내용이 아닙니다. 일반적인 교회 안에서도 그 현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체 성도의 20%만 교회 봉사를 하고, 나머지 80%는 주일예배만 왔다 갔다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정교회의 통계는 다르게 나옵니다. 가정교회 목회자 컨퍼런스에서 사례발표를 하는 교회들은 실제 80% 성도가 사역에 동참합니다. 나머지 20%는 VIP이거나 새신자입니다. 1인 1사역 때문입니다.
우리 공동체는 80% 이상의 성도님들이 사역에 동참하고, 20% VIP와 새신자를 섬기는 교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응답